티스토리 뷰
글을 쓰거나 말을 할때 헷갈리는 맞춤법이 많습니다.
매번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기에는 번거롭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말이지만 헷갈리는 맞춤법인
'지긋이'와 '지그시'를 아래에서 알아봅시다.
지긋이 지그시 구분하기
"나이가 (지긋이/지그시) 들어 보이는 외모였다."
"그는 (지긋이/지그시) 눈을 감았다."
발음이 같아 헷갈려 하시는 분이 많은 말인데요.
먼저, '지긋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긋이 지그시 구분하기
지긋이 [ 지그시 ]
1.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게.
2. 참을성 있게 끈지게.
예시문장
1. 그녀는 나이가 지긋이 들어 보인다.
2. 아이는 어른들 옆에 지긋이 앉아 있었다.
지긋이 지그시 구분하기
이번에는 '지그시'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그시 [ 지그시 ]
1.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
2.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
예시문장
1. 지그시 누르다.
2. 고통을 지그시 참다.
한글 맞춤법 4장 3절 25항, 한글 맞춤법 6장 1절 57항에 의하면
슬며시 힘을 줄 때에는 ‘지그시’로 적고,
‘지긋하다’의 의미가 살아 있으면 ‘지긋이’로 적는다고 나와 있습니다.
의미도 비슷하여 헷갈린다면 '지긋이'는 시간과 연관되어 있고,
'지그시'는 행동과 연관되어 있다고 외우시기 바랍니다.
위에서 '지긋이'와 '지그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도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맞춤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맞춤법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바로알기- 재고 제고 구분하기 (0) | 2020.06.15 |
---|---|
맞춤법 바로알기- 늘리다 늘이다 구분하기 (0) | 2020.06.14 |
맞춤법 바로알기- 붓다 붇다 구분하기 (0) | 2020.06.12 |
맞춤법 바로알기- 건네다 건내다 구분하기 (0) | 2020.06.11 |
맞춤법 바로알기- 떼다 때다 구분하기 (0) | 2020.06.11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